타인 (他人) 他人 손순자 詩 언제나 꼭 다문 입술로 하얀 담장 저쪽에 있는 너 장밋빛 미소 속에 언어(言語)를 숨겨 버린 것일까? 손을 잡고 뜨거운 정 나누면 한결같은 마음인 줄 알았는데 온 밤 내 진통을 겪어 가지 사이사이 새순 돋우며 꽃피울 때 너의 아픔을 내가 몰랐듯이 지난밤 내 가슴에 하얗게 쌓인 눈 네.. 손순자 시인의 자작시 2007.11.08
노란 나무대문 집 노란 나무대문집 손순자 詩 이제는 낡아 자꾸만 허물어져간다 노란 나무 대문 집 먼지 낀 창틀을 통해 기억하는 어린 시절은 늘 소란스럽던 아침의 재잘거림 크리스마스 전날 밤 똑같이 나뉘어져 머리맡에 놓여있던 센베과자와, 연탄불 위에서 노랗게 구워지던 짭짤한 임연수어의 맛이 나무대문 밀고.. 손순자 시인의 자작시 2007.11.08
남영역 남영역 손순자 詩 천안행 전철을 타고 ‘물 향기 수목원’ 가는 길 서울역 을 지나자 눈부신 햇살 사이로 변함없는 안내방송이 흘러나오더니 남영역 에서 스르르 자동문이 열리자 까마득하게 잊고 지내던 추억 하나 머릿속을 스쳐간다. “저...이거...” 손에 두툼한 편지봉투가 쥐어지던 순간, 재빨리.. 손순자 시인의 자작시 2007.11.08
세월 세월 손순자 詩 콩국수 국물 맛이 오이지무침이 열무김치가 예전 같지 않다고 툴툴대는 사람 입맛이 변한 걸까 손맛이 변한 걸까 마음이 변한 걸까 아니, 사랑이 식은 거야 손순자 시집 <소요산 연가> 중 에서 손순자 시인의 자작시 2007.11.08
어머니 어머니 손순자 詩 돌이킬 수 없이 작아져 버린 몸 많은 날들 지친 걸음에도 컴컴한 토방의 불빛으로 맑고 투명한 물줄기로 모든 것 정화시켜 참사랑 눈뜨게 하시더니 이제는 작은 바람결에도 소스라치는 모습으로 변한 어머니란 이름으로 불리는 당신 잠자리의 곤한 숨소리 들어본 게 언제인지 필요.. 손순자 시인의 자작시 2007.11.08
용화마을에서 용화마을에서 손순자 詩 “남의 손에 떡 이 더 커 보인다꼬 이집 미역은 참 좋으네, 우리 꺼는 와이라노? 문둥이 같이 생겨갖고...” 낯선 땅 아는 이가 없어도 결코 외롭지 않은 것은 그리움이란 이름으로 자리를 바꾸신 당신 생각에 투박한 사투리도 봄 햇살 같이 정겹게 스며듭니다. 2004년 7월 시집 &l.. 손순자 시인의 자작시 2007.11.08
가끔씩 손순자 詩 그대여 우리 가끔씩은 안부를 묻자 바람에 실어 보내거나 잔잔한 미소이거나 오랜 이별 뒤에 만나도 낯설지 않게 그대여 우리 가끔씩은 안부를 묻자 이 세상 의미를 두는 한 사람 손길 닿지 않는 곳에 있어 그 절망감으로 무관해져서 다시 모르는 사이가 되지 않게 손순자 시인의 자작시 2007.11.08